큰 의지 없이 시작했던 힐링음악 유튜브 만들기에 진심 한스푼 들어가서 스트리밍까지 여러 번 하기에 이르렀다. 사실 힐링음악을 실시간 방송에 활용하는 경우 내가 미리 만들어 둔 영상을 그냥 재생만 시키면 되는 거라 스트리밍 방법도 간단해서 부담이 없었다... 생각 보다 재미를 느끼며 하던 중에 지난번에 실시간 스트리밍 했을 때는 문제 없이 잘 굴러가던 OBS 프로그램이 갑자기 오류가 발생했다. 

 

그래서 오늘은 유튜브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는 데 필요한 OBS studio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한 가지에 대해,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.

 

이전처럼 그냥 OBS 프로그램을 시작하려고 하는데

 

! required graphics API functionality not found.

 

문구 뜨던 순간을 캡쳐를 못했는데, 대충 이런 경고 문구가 보이면서 실행자체가 되지 않았다. 프로그램을 다시 껐다 켜보고, 아예 노트북을 껐다 켜보기도 하고, 또 OBS 프로그램 자체를 다시 지웠다가 깔아보기도 했다. 이렇게 했을 때 이전보다는 단계가 더 진행되긴 하지만 결국엔 같은 문구가 뜨면서 프로그램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.

네이버에서는 내 경우와 정확히 일치하는 케이스는 잘 나오지 않았는데, 외국 사이트에서 해답을 얻었다.

 

저 문구가 떴을 때 가능한 원인은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.

 

1. 그래픽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때

OBS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어댑터 버전이 OBS 가동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경우이다.

-해결방법은 먼저 컴퓨터 윈도우 자체 검색창에서 'device manager'를 검색한다.

-그리고 뜨는 창에서 여러 탭 중에서 'display adapter'를 선택한다.

-그 하위에 존재하는 'Intel(R) Iris(R) Xe Graphics' (다른 이름의 어댑터 일 수도 있다) 를 오른쪽 버튼 클릭 후 'update driver'를 선택한다.

-다시 OBS 프로그램 실행시 문제 없이 시행할 수 있다.

 

2. 그래픽 어댑터가 두 가지가 있을 때

이 경우가 나와 같았는데, 위 1번 단계와 처음은 같다.

-먼저 컴퓨터 윈도우 자체 검색창에서 'device manager'를 검색한다.

-여러 탭 중에서 'display adapter'를 선택한다.

 

이후에 나오는 그래픽의 종류가 한 가지가 아니라 두 가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. 이럴 경우, 아마 프로그램에서 그래픽이 충돌해서 실행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.

 

-해결방법은 그래픽 둘 중 하나를 disable 하면 된다.

device manager 창

 

내 컴퓨터 설정이 일본어로 되어 있긴 한데, 위와 같이 '디스플레이 어댑터' 탭에서 'Intel(R) Iris(R) Xe Graphics'를 활성화하고 다른 그래픽을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두번째인 비활성화를 선택하면 된다. (보통 두 가지 어댑터가 다 활성화 된 상태라서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므로 A350M 어쩌고를 비활성화 시키기만 하면 된다.)

만약 앞서 설명한 1번의 케이스일 경우 사진과 다르게 위 창에서 Intel 그래픽 하나만 뜨게 된다. 2번 케이스의 경우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다.

 

이 단계까지만 하면 OBS 를 다시깔 필요도 없이 다시 실행만 하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

* OBS를 통해 유튜브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을 한다면 아마 대부분 1시간은 그냥 넘어갈 것이다. 이건 번외로 알게 된 것인데, 거의 컴맹인 나로서는 OBS를 통한 실시간 스트리밍이 얼마나 노트북에 무리를 주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. 무지성으로 좋으니까 하라는 거겠지 싶어서 힐링음악을 내 소중한 노트북으로 몇 시간 씩 스트리밍을 했는데, 그게 꽤 노트북 수명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. 계속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가동시켜야 하니 당연한 것 일지도. 암튼 실시간 스트리밍을 계획하고 있으신 분들이라면 망가져도 상관없는 노트북으로 하시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다. 실제로 스트리밍 오래오래 하는 분들을 보면 스트리밍 하고 있는 노트북 이외에 맥북 등의 노트북이 한 대 더 화면에 잡히기도 한다.

+ Recent posts